Steemit blog Update
조금전 올라온 @steemitblog의 Steemit Community Contributions (D.tube Embeds!) 글에 제가 얼마전 스팀잇에 제 코드 반영 (부제: 지갑 분리가 가져온 긍정적인 변화)에서 말씀드렸던 제가 했던 일들도 소개 되었습니다. 이번에 소개된 11개 업데이트중 4개가 제가 한거라서 1/3이 넘네요^^ 그래서인지 마지막에
"Special thanks to @blockchainstudio for all the great contributions!"
로 특별 언급도 해주었습니다.
이건 또 top of utopian에서 소개되는 거랑은 또 다른 재미와 보람입니다.
그중에 hyperlink markdown 복사기능은 standout 에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특히 현재 글에 그 기능을 썼는데 아주 편하다고 멘트도 남겼네요^^
함께 standout에 선정된 smittyvb는 과거 스팀잇 직원인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제 직원이 아닌가? 원래 아니었나. 저도 잘 모르겠네요. 직원이 아니었더라도 스팀 초기부터 참여했던 사람입니다. timcliff는 메인증인이고.
참고로 제 깃허브 메인 아이디가 economicstudio입니다. 만들던 당시에는 blockchainstudio가 없었는데 어느순간 생겨서 그것도 제가 파킹하긴 했는데 변경하다 뭔가 잘못될까봐(실제 변경하려면 뭔가 잘못될 수도 있다는 경고가 뜨긴해서ㅠㅠ) 그냥 쓰고 있습니다. 어차피 스팀잇의 @economicstudio도 사실상 이제 쓰진 않지만 제 부계정이기도 해서.
NextColony API 공개
NextColony 전투가 6월 8일에 시작된다는 Battle starts on June 8th글에서 API를 완전히 공개했습니다. https://jarunik.github.io/nc-docs/api/
backend 개발자가 steem-ua, steembasicincome등의 개발을 했던 holger80이고 기존에도 json 포맷은 다 공개를 하면서 상태조회 API도 곧 공개될거라 했는데 벌써 되었군요.
지금 대충 한번 훑어 보니 API문서도 상당히 잘 정리해두었습니다.
기능도 좋아서 건물/스킬 업그레이드 완료에 남은 시간까지 조회가 가능하네요. 즉 매우 효율적인 자동화 프로그램 제작이 가능해짐을 의미합니다.
기존에도 그냥 적당히 주기적으로 custom_json을 보내면 되긴했지만 비효율적이고 타이밍이 완벽할 수가 없는데 이제는 실제 자원양 남은 시간 감안해서도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졌다는 이야기이지요.
게다가 포스팅 권한 위임을 통하면 대리 운영 프로그램 제작도 가능해진 상황입니다. 그런게 게임환경에 득이될지는 모르겠지만. 저도 제가 업그레이드 버튼 누르기 귀찮아서라도 시간만 되면 만들어보고 싶기도 하고 이왕 만들게 되면 이런걸 서비스로 만드는 것도 재밌겠다 싶어서 아이디도 만들긴했는데^^ 시간문제도 있고 부계정 키워주는 것에 대한 논란의 여지도 있을 수 있어서 아마 만들게 될 것 같지는 않네요.
앞으로 오토들이 많이 나올 것 같은데 드럭워즈 전례도 있기 때문에 생각없이 오픈하진 않았을 것 같습니다. 제가 보기에도 일단 heist같이 단순하게 바로 이득되는 건 없어보여서 좀 더 복잡하니 안심하는 것 같기는 하네요. 하지만 부계정 만들어서 기본 레벨 올리는 작업은 정말 자동화가 쉽게 가능해질 것 같습니다.
넥스트콜로니가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지는 모르겠고 저는 사실상 시간때문에 이번엔 시작은 그런대로 일찍했어도 사실 플레이를 제대로 하고 있진 못하지만 그래도 좀 제대로 된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장한바대로 아무것도 없이도 블록체인데이터만 가지고 리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진정한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라고 할 수 있지요.
반면 드럭워즈는 암호화 트랙잭션때문에 솔직히 지금 단계에서 드럭워즈 팀에서 임의로 병력 만들어 쓸고 다닌다한들 검증할 길도 없습니다. 재연할수도 검증할 길도 없는 게임은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라기보단 블록체인 활용 게임이라고 불러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