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fenrir입니다.
오늘은 스팀의 빗썸프로 상장 찌라시 덕분에 스팀과 스달이 달리고 있는 좋은 날입니다. 고점 대비 하락폭으로 따지면 새발의 피 수준이지만 그래도 기분이 좋은 건 어쩔 수가 없습니다.
스팀 스달 가즈아!!!
다들 아시는 것처럼 스팀잇의 보상은 크게 ‘저자 보상과 “큐레이션 보상’으로 구분되며, 오늘은 그 중 큐레이션 보상 수익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다음 글에서는 저자 보상 수익률, 그리고 또 다음에는 큐레이션 보상과의 비교, 그리고 마지막에는 스팀잇 보상체계의 문제점에 대해 적어볼까 합니다.
말씀 드리고 싶은 건 많은데 생각보다 글 하나 적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서 진도가 느립니다. 조금 더 힘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 큐레이션 보상에 대한 기본개념
글 보상금액의 25%는 큐레이터에게 Steem Power(이하 SP)로 지급되며 이것을 큐레이션 보상이라 한다.
큐레이션 보상은 업보팅한 큐레이터들의 보유 SP 및 업보팅 순서에 따라 가중치가 결정되어 배분된다.
30분 이내에 업보팅을 하는 경우 큐레이션 보상은 저자와 큐레이터가 나누어 가지게 되며, 이를 저자 큐레이션 보상과 큐레이터 큐레이션 보상이라 한다.
- 큐레이션 보상 수익률을 계산하기 위한 가정
보유한 모든 SP를 큐레이션에만 사용
업보팅 순서에 따른 가중치 감안하지 않음
30분 이내 업보팅 하지 않음
즉, 업보팅 시 보유한 SP로만 가중치가 결정되므로, 내가 업보팅 한 금액의 25%가 나의 큐레이션 보상이 된다.
- 큐레이션 보상 수익률을 계산하자
지난 번 가장 효율적으로 보팅하는 법 - 보팅파워 회복률을 통해 보팅파워는 보팅파워% 구간에 관계없이 24시간 동안 20%p가 회복된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즉, 현재 보팅파워%에서 20%p 감소할 때까지 업보팅을 누른다면, 그것이 사용할 수 있는 1일 최대 업보팅의 양이다.
Steem 2.42 / 보유 SP 10,000 / 업보팅 가치 $1.60(스팀나우 계산기 조회)을 가정하고 아래 그림을 보자.
위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내가 하룻동안 최대로 사용할 수 있는 업보팅의 양은 $15.94이다.
24시간 후 보팅파워는 다시 100%를 회복하므로 내일도 나는 $15.94를 사용할 수 있다.
큐레이션 보상은 내가 업보팅한 금액의 25%라고 하였으니, 일일 큐레이션 보상을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다.
1일 최대 업보팅의 양 * 0.25 / Steem
= $15.94 * 0.25 / 2.42
= 1.6467 SP($15.94의 25%에 해당하는 SP)
일일 큐레이션 보상이 1.6467 SP이니 단순 계산하여 365일 동안 받을 수 있는 SP는 601.04가 되며, 보유한 SP는 10,000 이었으니 큐레이션 보상 단순 연수익률은 6.01%가 된다.
(단, 위 수익률은 Steem 및 업보팅의 가치가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밖에 표시가 안되었기 때문에 계산 시점마다 약간의 오차는 있을 수 있다.)
복리로 계산해 봤을 때도 6.18% 수준으로 큰 차이는 없다 .이는 워낙 일수익률이 0.0165%로 낮기 때문이다. 계산 결과는 아래에 첨부하도록 하겠다.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할 점은 향후 Steem의 가격 상승 시, 큐레이션 보상 금액 자체는 늘어날 지라도, 큐레이션 보상 수익률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큐레이션 보상수익률은 SP 단위로 구했기 때문에 601.04 / 10,000 의 비율은 유지되기 때문이다.
다른 계산을 통해서도 알아 보자.
우리는 지난 번 업보팅 및 글보상 가치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Steem 가격이 2배 오르면 업보팅의 가치도 2배 오른다는 걸 알고 있다.
이를 위 일일 큐레이션 보상 계산식에 대입하면 (2 * 1일 최대 업보팅의 양) * 0.25 / (2 * Steem)이 되고, 이는 결국 위와 동일한 식이 된다.
즉, 큐레이션 보상수익률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
결론
복리라고 쳐도 연 6.18%, 너무 낮다고 생각한다. 저자 보상 수익률(저자 보상 수익률은 이것보다 훨씬 높다)에 비해서 낮은 것도 큰 문제지만 절대적인 수준으로도 연 6%는 너무 낮은 것 같다. 왜냐하면 큐레이션도 노동일 뿐 아니라, Steem이 13주나 묶이는 리스크도 감안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번 수익률 계산 시 감안하지 않은 업보팅 순서에 따른 큐레이션 보상 가중치를 잘 이용한다면 수익률을 훨씬 끌어 올릴 수도 있다.
하지만 오늘 계산한 큐레이션 보상 수익률은 평균치를 계산한 것이다. 큐레이션 활동만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겨우 연 6%를 받아갈 뿐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얻은 수 있는 결론은 둘 중 하나이다.
글을 쓰던가 아니면 큐레이션 보상 비율이 바뀌던가
그래서인지 요즘 큐레이션 보상 비율을 바꾸자는 글이 많이 올라오고 있는 것 같다.
오늘 이 글을 쓰면서 계산해보니 나도 격하게 동감하는 바이다.
이상입니다.
오늘도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