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Joey Park입니다.
EOS 기반 제 2의 스팀잇(?)인 PUBLYTO의 토큰이
CHAINCE 거래소에 상장된 것을 보고 깜짝 놀라
급히 백서 분석을 했습니다. (현재 버전이 아닌 지난 버전)
내용이 다소 길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PUBLYTO 개요

플러그인 기능을 통해 페이스북, 유튜브, 개인 블로그 등 어디서나
PUBLYTO를 통해 암호화폐를 획득 가능한 플랫폼으로
'고마워'를 통해 소비된다.
Joey Park의 생각
'플러그인'은 기존 플랫폼에 접목 시킨다는 의미로
확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사실에
스팀잇도 긴장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PUBLYTO 토큰 생태계
PUBLYTO 토큰 생태계를 말하기에 앞서
스팀잇의 토큰 생태계를 살펴보자.

과거 스팀잇은 하드포크 16(?) 이전 제곱 보상 체계를 적용하였다.
즉, 1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의 보팅이 찍혔다고 가정하면
10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0의 보팅이 아닌(10배가 아닌)
$100의 보팅이 찍혔다.(제곱 보상이므로 10^2=100배)
이후 하드포크 16(?)을 거쳐 선형 보상 체계로 전환되었다.

즉, 1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의 보팅이 찍혔다고 가정하면
10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0의 보팅이 찍힌다.
PUBLYTO는 스팀잇과 다르게 보유량에 따른 영향력을 감소하기 위해

제곱 보상, 선형 보상도 아닌 루트 보상으로 설계하였다.
즉, 10,000 PUB을 보유한 경우 $1의 고마워가 찍혔다고 가정하면
100,000 PUB을 보유한 경우 $루트10=3.16의 고마워가 찍히는 것이다.
이것은 고래에 의해 토큰 생태계가 휘둘리는 것을 방지한다.
PUB을 예치함으로써 이자인 INK를 받을 수 있다.
INK를 통해 고마워를 행사할 수 있으며
고마워를 행사할 수록 게이지가 감소하며, 시간이 지나면 회복한다.
PUB을 출금하기 위해 10주가 소모된다.
(즉, 1주에 예치한 10%의 PUB 출금 가능)
급히 출금이 필요한 경우, 위약금 지불을 통해 가능하다.
컨텐츠 보상과 큐레이션 보상 비율은 75:25다.
CPM(노출형), CPC(클릭형) 등 다양한 광고 방식을 열어두었고
광고 수익에 세금을 부과하여 디플레이션을 발생시킨다.
연 인플레이션율은 10% 미만으로 설계하였다.
네트워크를 저해하는 스패머 방지 방안

어느 플랫폼이던지 네트워크를 저해하는 스패머는 존재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reCAPTCHA 도입 후
MFA(Multi Factor Authentication)과 옴부즈맨 제도를 통해 예방하려고 한다.
비활성 이용 예방

3개월 간 비활성 계정을 대상으로 계정 활성화 전까지
월 10%의 PUB 감쇠율을 적용한다.

이벤트 참여 방법
① 이 글 리스팀
② 아래 참여 예와 같이 댓글을 남김 → $0.3 보팅
참여 예
리스팀 완료했습니다^^
스팀잇도 긴장해서 다시 전고점 탈환 가즈아 😍
이번 백서를 분석하며, 스팀잇도 등장하는 여러 플랫폼에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꾸준히 나아갔으면 좋겠습니다.
남은 연휴 푹 쉬세요 😘
스팀잇 사랑합니다 😍
EOS 기반 제 2의 스팀잇(?)인 PUBLYTO의 토큰이
CHAINCE 거래소에 상장된 것을 보고 깜짝 놀라
급히 백서 분석을 했습니다. (현재 버전이 아닌 지난 버전)
내용이 다소 길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PUBLYTO 개요

플러그인 기능을 통해 페이스북, 유튜브, 개인 블로그 등 어디서나
PUBLYTO를 통해 암호화폐를 획득 가능한 플랫폼으로
'고마워'를 통해 소비된다.
Joey Park의 생각
'플러그인'은 기존 플랫폼에 접목 시킨다는 의미로
확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사실에
스팀잇도 긴장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PUBLYTO 토큰 생태계
PUBLYTO 토큰 생태계를 말하기에 앞서
스팀잇의 토큰 생태계를 살펴보자.

과거 스팀잇은 하드포크 16(?) 이전 제곱 보상 체계를 적용하였다.
즉, 1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의 보팅이 찍혔다고 가정하면
10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0의 보팅이 아닌(10배가 아닌)
$100의 보팅이 찍혔다.(제곱 보상이므로 10^2=100배)
이후 하드포크 16(?)을 거쳐 선형 보상 체계로 전환되었다.

즉, 1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의 보팅이 찍혔다고 가정하면
10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0의 보팅이 찍힌다.
PUBLYTO는 스팀잇과 다르게 보유량에 따른 영향력을 감소하기 위해

제곱 보상, 선형 보상도 아닌 루트 보상으로 설계하였다.
즉, 10,000 PUB을 보유한 경우 $1의 고마워가 찍혔다고 가정하면
100,000 PUB을 보유한 경우 $루트10=3.16의 고마워가 찍히는 것이다.
이것은 고래에 의해 토큰 생태계가 휘둘리는 것을 방지한다.
PUB을 예치함으로써 이자인 INK를 받을 수 있다.
INK를 통해 고마워를 행사할 수 있으며
고마워를 행사할 수록 게이지가 감소하며, 시간이 지나면 회복한다.
PUB을 출금하기 위해 10주가 소모된다.
(즉, 1주에 예치한 10%의 PUB 출금 가능)
급히 출금이 필요한 경우, 위약금 지불을 통해 가능하다.
컨텐츠 보상과 큐레이션 보상 비율은 75:25다.
CPM(노출형), CPC(클릭형) 등 다양한 광고 방식을 열어두었고
광고 수익에 세금을 부과하여 디플레이션을 발생시킨다.
연 인플레이션율은 10% 미만으로 설계하였다.
네트워크를 저해하는 스패머 방지 방안

어느 플랫폼이던지 네트워크를 저해하는 스패머는 존재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reCAPTCHA 도입 후
MFA(Multi Factor Authentication)과 옴부즈맨 제도를 통해 예방하려고 한다.
비활성 이용 예방

3개월 간 비활성 계정을 대상으로 계정 활성화 전까지
월 10%의 PUB 감쇠율을 적용한다.

이벤트 참여 방법
① 이 글 리스팀
② 아래 참여 예와 같이 댓글을 남김 → $0.3 보팅
참여 예
리스팀 완료했습니다^^
스팀잇도 긴장해서 다시 전고점 탈환 가즈아 😍
이번 백서를 분석하며, 스팀잇도 등장하는 여러 플랫폼에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꾸준히 나아갔으면 좋겠습니다.
남은 연휴 푹 쉬세요 😘
스팀잇 사랑합니다 😍
CHAINCE 거래소에 상장된 것을 보고 깜짝 놀라
급히 백서 분석을 했습니다. (현재 버전이 아닌 지난 버전)
내용이 다소 길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PUBLYTO 개요

플러그인 기능을 통해 페이스북, 유튜브, 개인 블로그 등 어디서나
PUBLYTO를 통해 암호화폐를 획득 가능한 플랫폼으로
'고마워'를 통해 소비된다.
Joey Park의 생각
'플러그인'은 기존 플랫폼에 접목 시킨다는 의미로
확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사실에
스팀잇도 긴장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PUBLYTO 토큰 생태계
PUBLYTO 토큰 생태계를 말하기에 앞서
스팀잇의 토큰 생태계를 살펴보자.

과거 스팀잇은 하드포크 16(?) 이전 제곱 보상 체계를 적용하였다.
즉, 1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의 보팅이 찍혔다고 가정하면
10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0의 보팅이 아닌(10배가 아닌)
$100의 보팅이 찍혔다.(제곱 보상이므로 10^2=100배)
이후 하드포크 16(?)을 거쳐 선형 보상 체계로 전환되었다.

즉, 1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의 보팅이 찍혔다고 가정하면
10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0의 보팅이 찍힌다.
PUBLYTO는 스팀잇과 다르게 보유량에 따른 영향력을 감소하기 위해

제곱 보상, 선형 보상도 아닌 루트 보상으로 설계하였다.
즉, 10,000 PUB을 보유한 경우 $1의 고마워가 찍혔다고 가정하면
100,000 PUB을 보유한 경우 $루트10=3.16의 고마워가 찍히는 것이다.
이것은 고래에 의해 토큰 생태계가 휘둘리는 것을 방지한다.
PUB을 예치함으로써 이자인 INK를 받을 수 있다.
INK를 통해 고마워를 행사할 수 있으며
고마워를 행사할 수록 게이지가 감소하며, 시간이 지나면 회복한다.
PUB을 출금하기 위해 10주가 소모된다.
(즉, 1주에 예치한 10%의 PUB 출금 가능)
급히 출금이 필요한 경우, 위약금 지불을 통해 가능하다.
컨텐츠 보상과 큐레이션 보상 비율은 75:25다.
CPM(노출형), CPC(클릭형) 등 다양한 광고 방식을 열어두었고
광고 수익에 세금을 부과하여 디플레이션을 발생시킨다.
연 인플레이션율은 10% 미만으로 설계하였다.
네트워크를 저해하는 스패머 방지 방안

어느 플랫폼이던지 네트워크를 저해하는 스패머는 존재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reCAPTCHA 도입 후
MFA(Multi Factor Authentication)과 옴부즈맨 제도를 통해 예방하려고 한다.
비활성 이용 예방

3개월 간 비활성 계정을 대상으로 계정 활성화 전까지
월 10%의 PUB 감쇠율을 적용한다.

이벤트 참여 방법
① 이 글 리스팀
② 아래 참여 예와 같이 댓글을 남김 → $0.3 보팅
참여 예
리스팀 완료했습니다^^
스팀잇도 긴장해서 다시 전고점 탈환 가즈아 😍
이번 백서를 분석하며, 스팀잇도 등장하는 여러 플랫폼에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꾸준히 나아갔으면 좋겠습니다.
남은 연휴 푹 쉬세요 😘
스팀잇 사랑합니다 😍
급히 백서 분석을 했습니다. (현재 버전이 아닌 지난 버전)
내용이 다소 길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PUBLYTO 개요

플러그인 기능을 통해 페이스북, 유튜브, 개인 블로그 등 어디서나
PUBLYTO를 통해 암호화폐를 획득 가능한 플랫폼으로
'고마워'를 통해 소비된다.
Joey Park의 생각
'플러그인'은 기존 플랫폼에 접목 시킨다는 의미로
확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사실에
스팀잇도 긴장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PUBLYTO 토큰 생태계
PUBLYTO 토큰 생태계를 말하기에 앞서
스팀잇의 토큰 생태계를 살펴보자.

과거 스팀잇은 하드포크 16(?) 이전 제곱 보상 체계를 적용하였다.
즉, 1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의 보팅이 찍혔다고 가정하면
10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0의 보팅이 아닌(10배가 아닌)
$100의 보팅이 찍혔다.(제곱 보상이므로 10^2=100배)
이후 하드포크 16(?)을 거쳐 선형 보상 체계로 전환되었다.

즉, 1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의 보팅이 찍혔다고 가정하면
10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0의 보팅이 찍힌다.
PUBLYTO는 스팀잇과 다르게 보유량에 따른 영향력을 감소하기 위해

제곱 보상, 선형 보상도 아닌 루트 보상으로 설계하였다.
즉, 10,000 PUB을 보유한 경우 $1의 고마워가 찍혔다고 가정하면
100,000 PUB을 보유한 경우 $루트10=3.16의 고마워가 찍히는 것이다.
이것은 고래에 의해 토큰 생태계가 휘둘리는 것을 방지한다.
PUB을 예치함으로써 이자인 INK를 받을 수 있다.
INK를 통해 고마워를 행사할 수 있으며
고마워를 행사할 수록 게이지가 감소하며, 시간이 지나면 회복한다.
PUB을 출금하기 위해 10주가 소모된다.
(즉, 1주에 예치한 10%의 PUB 출금 가능)
급히 출금이 필요한 경우, 위약금 지불을 통해 가능하다.
컨텐츠 보상과 큐레이션 보상 비율은 75:25다.
CPM(노출형), CPC(클릭형) 등 다양한 광고 방식을 열어두었고
광고 수익에 세금을 부과하여 디플레이션을 발생시킨다.
연 인플레이션율은 10% 미만으로 설계하였다.
네트워크를 저해하는 스패머 방지 방안

어느 플랫폼이던지 네트워크를 저해하는 스패머는 존재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reCAPTCHA 도입 후
MFA(Multi Factor Authentication)과 옴부즈맨 제도를 통해 예방하려고 한다.
비활성 이용 예방

3개월 간 비활성 계정을 대상으로 계정 활성화 전까지
월 10%의 PUB 감쇠율을 적용한다.

이벤트 참여 방법
① 이 글 리스팀
② 아래 참여 예와 같이 댓글을 남김 → $0.3 보팅
참여 예
리스팀 완료했습니다^^
스팀잇도 긴장해서 다시 전고점 탈환 가즈아 😍
이번 백서를 분석하며, 스팀잇도 등장하는 여러 플랫폼에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꾸준히 나아갔으면 좋겠습니다.
남은 연휴 푹 쉬세요 😘
스팀잇 사랑합니다 😍
내용이 다소 길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PUBLYTO 개요
플러그인 기능을 통해 페이스북, 유튜브, 개인 블로그 등 어디서나
PUBLYTO를 통해 암호화폐를 획득 가능한 플랫폼으로
'고마워'를 통해 소비된다.
Joey Park의 생각
'플러그인'은 기존 플랫폼에 접목 시킨다는 의미로
확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사실에
스팀잇도 긴장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PUBLYTO 토큰 생태계
PUBLYTO 토큰 생태계를 말하기에 앞서
스팀잇의 토큰 생태계를 살펴보자.

과거 스팀잇은 하드포크 16(?) 이전 제곱 보상 체계를 적용하였다.
즉, 1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의 보팅이 찍혔다고 가정하면
10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0의 보팅이 아닌(10배가 아닌)
$100의 보팅이 찍혔다.(제곱 보상이므로 10^2=100배)
이후 하드포크 16(?)을 거쳐 선형 보상 체계로 전환되었다.

즉, 1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의 보팅이 찍혔다고 가정하면
100,000 스팀파워를 보유한 경우 $10의 보팅이 찍힌다.
PUBLYTO는 스팀잇과 다르게 보유량에 따른 영향력을 감소하기 위해

제곱 보상, 선형 보상도 아닌 루트 보상으로 설계하였다.
즉, 10,000 PUB을 보유한 경우 $1의 고마워가 찍혔다고 가정하면
100,000 PUB을 보유한 경우 $루트10=3.16의 고마워가 찍히는 것이다.
이것은 고래에 의해 토큰 생태계가 휘둘리는 것을 방지한다.
PUB을 예치함으로써 이자인 INK를 받을 수 있다.
INK를 통해 고마워를 행사할 수 있으며
고마워를 행사할 수록 게이지가 감소하며, 시간이 지나면 회복한다.
PUB을 출금하기 위해 10주가 소모된다.
(즉, 1주에 예치한 10%의 PUB 출금 가능)
급히 출금이 필요한 경우, 위약금 지불을 통해 가능하다.
컨텐츠 보상과 큐레이션 보상 비율은 75:25다.
CPM(노출형), CPC(클릭형) 등 다양한 광고 방식을 열어두었고
광고 수익에 세금을 부과하여 디플레이션을 발생시킨다.
연 인플레이션율은 10% 미만으로 설계하였다.
네트워크를 저해하는 스패머 방지 방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