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반려동물 유기보다는 포기가 쉬운 사회

우리 집 코비를 한국에서 데려오기 전에 '한국 개 입양 전문 단체' 이용을 고려했다.
한국 내 유기견이 너무 많아서, 일정 기간 보호하다가 '처분'한다고 하니, 그걸 보다 못한 해외 단체들이 한국에서 개를 데려오고 있다.
농담처럼 들릴 수 있겠지만, 한국 견공만 전문으로 사명감을 갖고 입양 알선하는 단체가 몇 개 있다.
구글에서 'Korean dog adoption'으로 검색하면 나온다.

IMG_4998.jpg

"코비야~ 아빠, 엄마랑 누나들이랑 오래오래 같이 잘 살자. 오구오구~ 내 새끼~. "

캐나다도 반려동물 포기가 없는 건 아니다

무엇인가에 대해 포기하고, 버리는 행위는 사람 사는 곳이면 어디든 있다.
그 행위 자체를 금지한다고 한들, 어디선가는 일어나기 마련이다. 사실 금지는 어쩌면 별 고민 없이 손쉽게 내리는 졸속 해결책일 수 있다.
캐나다에는 금지보다는 제도와 문화로 여기에 대해 어느 정도 통하는 해결책을 쓰고 있다.

  • 첫째, 구매보다는 입양을 적극 권한다.
    그래서 동네를 산책하다 보면 강아지는 거의 없고, 노견이 많다. 일부 지자체는 아예 애견샵 개 판매도 금지했다.

  • 둘째, 동네에 입양 행사가 자주 열린다.
    동물학대 단속부터 입양까지 법적 권리를 주정부로부터 받은 동물보호협회(SPCA)나 다른 입양 전문 단체가 반려동물 용품점에서 이런 행사를 한다.
    '입양 실적'에 중점을 둔 행사가 아니다. 희망자에게 어떻게 키우고, 어떤 조건을 갖춰야 할지를 자세하게 가르쳐 준다.
    내가 입양을 결심한다고 끝이 아니라, 일부 협회는 주택을 방문해, 반려 동물이 잘 살 수 있는 환경인지 점검한다.

  • 셋째, 법이 엄격하고 사람들도 남들이 이 법을 지켜야 한다는 의식이 강하다. 예컨대 더운 여름철에 개를 차 안에 홀로 두면 주위의 신고로 경찰이 20분 이내에 등장한다. 연행되거나, 유튜브에 얼굴이라도 올라가면 살기 힘들어진다.

  • 넷째, 반려 생활을 포기해도 비난하지 않는다. 동물보호 협회는 순순이 반려 동물을 맡아 준다. 정부 보조금을 받아서 그렇다. '유기'보다는 '포기'를 마음 편하게 할 수 있게 해준다.


    이 네 가지의 바탕인 빅아이디어(big idea)는 "동물은 나와 같은 생명체" 라는 인식이다. 동물도 삶을 누리고 싶어 하는 존재라는 의식이 기본이다.

캐나다인이 훌륭해서 그런 의식이 있는 게 아니다. 약 두 세대 전에 동물 복지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그걸 교육 과정에 집어넣었고, 여러 애견 관련 프로그램이며 TV쇼도 만들었다. 그러면서 동물 복지는 바탕 의식이 됐다.

이런 빅아이디어, 한국 사정을 잘 모르겠지만, 혹시 그간 바라보지 않았다면, 입양해보는 건 어떨까? 잘 키우리라고 본다.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