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버린 것은 무엇일까?

dog-1718242_640.jpg

'TV 동물농장'이라는 프로그램을 보면 유기견들에 대한 이야기가 종종 나온다.

버림 받은 강아지들의 모습을 보고 있으면 가슴이 짠하다.

특히 자신을 버리고 간 주인을, 그것도 버림 당한 바로 그곳에서 기다리고 있는 그들의 이야기를 보고 있노라면 동물도 지키는 의리를 배신하는 인간성에 아연실색하게 된다.

구글링을 해보니 한 해 평균 6만 마리의 반려견들이 버려진다고 한다.

그것도 유기동물보호소나 보호센터에서만 잡힌 숫자라고 하니 실제로는 10만 마리가 훌쩍 넘을 거라는 것이다.

대부분 병들었거나 다쳐서 키우기가 힘들어진 경우 아니면 나이가 많은 노견이라고 한다.

언론에서는 무분별한 입양과 견주들의 무책임함에 대해 성토한다. 하지만 그게 전부 다일까?

나는 이 문제가 이 선에서 끝나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문명과 야만의 차이는 뭘까?

무엇으로 이 둘을 구분할 수 있을까?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난 '약자가 보호 받을 수 있느냐'에 따라 갈라진다고 본다.

동물의 왕국을 보신 적이 있는가?

아프리카의 사파리는 생각처럼 낭만적인 곳이 아니다. 사파리는 철저하게 약육강식의 원리가 지배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약함은 곧 죄악이다. 이곳에서 약자의 운명은 포식자의 먹이가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곳에서 영양 한 마리가 하이에나 떼에게 둘러싸이면 불과 몇 분 만에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백수의 왕이라는 사자도 이런 경우를 당하면 꽁무니가 빠져라 도망가야 한다. 이 살벌한 약육강식의 세계에서는 사자도 포식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니 사파리에서는 약자가 되면 안 된다. 그것은 곧 죽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철저하게 약자가 강자의 먹잇감이 되는 곳.. 이곳이 바로 야만의 영역이다.

반면 문명 세계에는 약자를 보호하는 시스템과 제도가 존재한다.

이곳에서 힘이 세다고 함부로 주먹을 휘두르면 철창 신세를 지게 된다. 살인이라도 저지르면 영원히 사회로부터 격리될 수도 있다.

문명 세계에서는 아무리 강자라 해도 약자의 것을 함부로 빼앗을 수 없다. 왜 그런가? 문명 세계는 생명에 대한 존중이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 곳에서는 약자도 생명이라는 이유 하나로 보호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문명 세계에도 야만의 영역이 남아있다. 아직도 극복하지 못한 야만성이 문명 세계 곳곳에서 사람들과 동물들을 불행하게 만들고 있다.

특히 이 야만성을 내면에 품고 있는 사람들은 위험하다. 이들 중에는 생명을 존중하는 마음이 부족한 자들이 많다.

말 못하는 짐승이니 함부로 갖다 버려도 된다고 생각했다는 것은 이들이 자신도 생명의 일부라는 사실을 망각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들이 갖다버린 것은 단지 반려견 한 마리 만이 아닌 것이다. 그들의 행위는 자신의 생명도 존중 받을 가치가 없다는 자폭선언이 아니었을까?

작가 정유정은 몇 해 전 구제역으로 수백 만 마리의 소와 돼지가 생매장 당하는 장면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이것을 보고 구상한 작품이 바로 '붉은 눈'이라 불리는 인수공통전염병으로 인한 재난을 그린 이야기 '28'이다.

이 작품의 에필로그에서 그녀가 남긴 이 한 문장은 정말이지 깊은 울림을 남긴다.

"살아있는 모든 것은 그 자체로 존재의 타당성을 지닌다."

동물도, 사람도 생명이라는 점에서는 같다. 동물의 생명이 존중 받을 수 없는 곳에서 인간의 생명이라고 존중 받을 수 있을까?

문명 세계라고 하는 곳에서 버려지는 수많은 생명들을 보며 드는 의문이다.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1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