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영어 표현: could/couldn't have pp

englishstudy.jpg

스팀 가격이 도무지 회복의 기미를 안 보이네요ㅠㅠ 그래서인가 아님 또 며칠 연달아 빠짐없이 글을 쓰다보니 지치는 건지. 그래도 영어 공부는 꾸준히 해야겠죠!!

자 먼저 오늘의 영어 표현: should/shouldn't have pp 복습하고 와주세용~~

오늘은 여기에서 should를 could로 바꾼 것입니다. 긍정형의 경우 복습을 잘 하신 분은 의미를 유추할 수 있을 거에요.

could have pp: ~ 할 수 있었다 (그런데 안 했다)

should때도 마찬가지인데 '그런데 안 했다'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거에요. could에서는 조금 불명확한듯해서 써놨어요.

  • Ned could've worked hard. 네드는 열심히 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안했다.)

네드 나빠요 간단하죠?

그런데 부정형은 내포된 의미를 조심하셔야 해요. 사실 모르셔도 되요. 부정형 보다는 긍정형이 훨~씬 많이 쓰입니다.

couldn't have pp: ~ 할 수 없었다. (그리고 못했다. 완전히 불가능했다.)

그럼 예리하신 분은, 어라? 그럼 그냥 couldn't v 랑 뭐가 틀려?란 질문을 할 수 있겠죠.

couldn't v: ~할 수 없었다.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무리해서 할려면 할수는 있었다)

아래 문장은 둘다 "네드는 우리의 파티에 올 수 없었다."라는 의미인데요. 나빠요 네드 뉘앙스는 다릅니다.

  • Ned couldn't come to our party. (예를 들어 바빠서, 일하는 척 하느라, 즉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닌 경우)
  • Ned couldn't have come to our party. (비행기가 캔슬된다던지 하는 불가항력적인 이유)

느낌 오시죠? 배째고 놀수는 있었다면 couldn't come이고 너무너무 오고 싶었는데 정말 불가항력적인 이유로 못오게 되면 couldn't have come입니다. 참 두개 동새 모양이 같은데 그건 come의 pp형도 come이라서 그런거 아시죠?^^

자 그럼 연관된 표현이 아니라 could have pp의 또다른 의미를 살표볼께요. 이것도 많이 쓰이니까. 최소 위 부정형인 couldn't have pp보다는 훨씬 많이 쓰여요.

바로 추측의 표현인데요 might을 쓰셔도 됩니다.

could/might have pp: ~했을 수도 있겠다. (진짜인지는 모름)

  • She was never late before. She could have got stuck in traffic. 그녀는 절대 늦는 사람이 아니었다. 아마도 교통혼잡에 갇혔을지도 모르겠다.

어떤 의미인지는 역시 문맥으로 알 수가 있습니다.

이 글은 @joceo00님의 천하제일연재대회에 참여하고 있는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