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은 골목길 탐방 8] 도심 속 시간여행, 밤의 덕수궁

KakaoTalk_Photo_2018-04-24-19-54-49.jpeg

서울의 한복판에 전통을 간직한 왕궁이 있다는 건 서울의 가장 큰 매력 중 하나가 아닌가 싶습니다.

경복궁, 경희궁, 덕수궁...

광화문 앞을 지나치면서도, 시청 앞 로타리를 스치면서도, 삼청동 골목을 들어서면서도 우리는 종종 서울 한복판에 옛 선조들의 흔적이 남아 있다는 것을 잊곤 하지요.

그러나 어느새 '고궁 달빛 산책' 프로그램은 관심있는 사람들에게 빠르게 매진되곤 하는 스테디 셀러로 자리잡았습니다.

저는 그 중 덕수궁을 다녀왔는데요.

KakaoTalk_Photo_2018-04-24-19-56-01.jpeg

덕수궁은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99번지, 지하철 1,2호선 시청역에 맞닿아 있습니다.

덕수궁의 예전 이름은 경운궁입니다.

이 곳은 고종황제와 인연이 아주 깊은 곳인데요,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했던 고종이 다시 돌아와 대한제국을 선포한 공간이자

덕혜옹주가 태어나 자란 곳이고, 고종이 숨을 거둔 곳입니다.

KakaoTalk_Photo_2018-04-24-19-56-42.jpeg

덕수궁 곳곳에서는 대한제국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데요,

중국에서 독립해 황제가 되겠다는 선포로 봉황 대신 용의 문양을 사용한 흔적을 궁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덕수궁에는 무척 인상적인 건물이 하나 있는데요,

KakaoTalk_Photo_2018-04-24-19-56-07.jpeg

바로 석조전입니다.

KakaoTalk_Photo_2018-04-24-19-55-20.jpeg

화강암으로 지어진 이오니아식 기둥, 프랑스 궁정을 연상하게 하는 연못장식 등 기존의 궁에서 볼 수 없는 이국적인 풍경이 펼쳐지는데요.

이곳이 일제시대 때 미술관으로 쓰여서 일본인들이 만든 건물이 아닌가 생각하시는 분도 있다고 들었어요.

그러나 이 건물은 1900년에 짓기 시작해 10년 만에 준공된, 고종이 심혈을 기울인 작품입니다.

조선이 쇄국주의 때문에 일본에게 외교권을 빼앗겼다는 오해를 불식시키는 건물이지요.

국가를 빼앗긴 왕이라는 불명예 때문에 그 동안 고종은 나약한 왕이라는 오해를 받았는데요.

사실은 덕수궁에 최초로 전기를 들이고, 자동차를 들여오고, 커피를 즐기고, 석조전을 지은 무척 세련되고 지적인 왕이었다고 합니다.

나라를 빼앗겼을 때에도 그저 무기력하게 있었던 것이 아니라,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독립국가로서의 위상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고 하지요.

KakaoTalk_Photo_2018-04-24-19-55-30.jpeg

이곳 정관헌은 역대 왕들의 초상화인 어진을 모아 놓은 장소였다고 합니다.

사방이 트여있고, 지붕은 동양식이고 기둥을 두른 난간은 서양식으로 지어졌지요.

서양식 난간에는 사슴, 소나무, 당초, 박쥐 등 전통 문양이 새겨져 있습니다.

KakaoTalk_Photo_2018-04-24-19-55-50.jpeg

2층으로 지어진 이 건물은 석어당인데요.

석어당은 선조가 임진왜란 중 피난갔다가 환도하였을 때 묵었던 건물입니다.

그리고 광해군이 인목왕후를 유폐시킨 곳, 인조반정이 성공한 뒤 광해군의 죄를 문책했던 비운의 장소이지요.

임진왜란 때 모습 그대로는 아니고, 덕수궁의 대부분의 건물들이 1904년 화재로 소실되었기 때문에 그 이후에 다시 중건된 모습이라고 해요.

역사 공부는 이쯤 하기로 하고, 덕수궁 곳곳을 거닐어 볼까요.

KakaoTalk_Photo_2018-04-24-19-54-54.jpeg

KakaoTalk_Photo_2018-04-24-19-54-43.jpeg

KakaoTalk_Photo_2018-04-24-19-55-38.jpeg

높은 빌딩에 둘러싸인 궁내를 걷고 있자니 꼭 조선시대로 타임워프 해 온 기분이었습니다.

덕수궁에는 건물과 건물을 연결하는 비밀 통로가 있다고 해요.

아내가 처참히 살해당하고, 아관파천의 수모까지 겪어야 했던 고종은 침전과 집무실에 위기 때 언제든 피신할 수 있게끔 비밀 통로를 설치했다고 하지요.

1900년대 초반에 다시 중건되어 아름답게 단장된 외관이지만,

덕수궁에는 조선말, 대한제국 시대 조선의 아픔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흔적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재미있는 정보 하나 더.

덕수궁 돌담길을 걸으면 연인들이 헤어진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사실 덕수궁 돌담길 끝에 요즘 시대에 '가정법원'이 있었다고 해요.

부부가 그 길을 걸어 법원에 가서 이혼 신고를 하고, 나올 때는 남남이 되어 따로 걷던 길이 덕수궁 돌담길이었던 거죠.

그래서 덕수궁 돌담길이 이별의 상징이 되었다고 하네요.

이제는 그 돌담길도 초록을 담아 푸릇푸릇 아름다워졌어요.

이번 주말, 덕수궁 야간 산책을 강추합니다.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2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