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본적 + 기술적 분석의 조화를 중시하는 @valueup입니다. 부족하나마, 양수겸장?의 효과를 기대하며, 시장을 입체적으로 진단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1. 과거 분석 평가
지난, 1월 12일 하락장이 진행시, 작성한 분석글의 요지는 크게 세가지 + 보너스1 이였습니다.
A. 제한적 상승 전망:
상승추세선 하단~일목균형표 기준선까지(4시간봉기준) 단기반등 후, 비중 조절 권유
B. 거시적 상승 뷰 유지 :
50%의 비중유지 (패닉셀 금지 + 50%로 비중조절)
C. 김프의 하락세 지속:
역대 두번째의 김프 고점이후 한국물의 상승탄력 둔화 예상
+ : 시장대표 포트로 비트코인 아닌 이더리움의 상대수익률이 높을것으로 예상해 제시.
=> 과거 분석을 냉정히 평가할 때, A:단기반등 B:패닉셀금지+장기비중유지 는 현재시점까지 옳은 분석이였으나, C: 김프축소로 한국물 탄력저하는 이틀간 오히려 김프의 소폭 상승을 감안할 때 틀린 분석이였음. 다만, 이더리움의 상대수익률 우수 전망으로 반등시 대표포트폴리오로 구성을 제안한 것은 적절하였다고 판단됨=>2018년 1월 12일 분석글
2. 현재 분석 및 대응 전략
A. 거시적 상승 뷰 유지
=> 이는 과거글 가상화폐의 수급구조 분석 : "악화(惡貨)가 양화(惡貨)를 창조하고 진화시킨다"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보고서외에 첨언하자면, 비록 시장의 주도 코인은 <거래가능 기준화폐=>거래원활 기준화폐=>수요창출 플랫폼화폐 =>수요활용 범용성/상용화 화폐>로 변화할지언정 전반적인 암호화폐 시장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B. 단기 반등세는 소추세선 상단이자 볼밴 상단을 터치후, 기준선을 확인하는 움직임으로 일단락될 것으로 예상
=>최근의 조정장세에서의 주요 매물대이자 단기 상승추세선의 상단 그리고 볼린저밴드의 상단밴드까지는 상승이 열려 있는 바, 일련의 터치과정 뒤, 전환선과 기준선의 호전이 이어지면서 다시 기준선을 하방에 두는 소폭 조정과 지지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24시간 기준으로는 가두리 혼조세)
이는 현재장의 주도코인인 이더리움과 관련 플랫폼주외에도 유동성 효과로 오른 알트코인까지 모두 고점을 크게 갱신하여 과한 이격이 벌어진 상황이고, 정부정책의 변동성으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으로 고점에도 씩씩하게 유입될 수 있는 신규투자의 원활한 유입이 지연 or 점진적으로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바, 과거 2017년 11월장의 조정뒤 구름대를 바로 돌파하는 모습이 아닌,
2017년 5월 구름대 근방까지 상승뒤 기준선을 지지받는 모양을 이어갔던 흐름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됨.
C. 단기적으로 이더리움의 상승세가 과했는 바, 비트코인과 키 맞추기 가능성으로 인해 금번 단기반등세에는 비트코인이 상대수익률상 유리할 것으로 전망
최근 이더리움 계열의 상승세는 비트코인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포트폴리오의 중요성을 새삼 일깨워준 예시였음.
다만, 이더리움, 네오 등 전반적인 플랫폼 계열의 상승세가 컸던 바, 단기 조정이 예상됨. 이는 새벽녘의 이더리움 클래식의 상승과 퀀텀 등으로 순환이 일어나면서 이더리움 자체는 앞으로 이어지는 상승에서 단기적으로는 소폭 하락내지 정체를 보일 수도 있다고 판단됨(거시적인 뷰는 이역시 상승이기에 50%의 비중은 반드시 유지할 것)
이어지는 개별 코인 분석은 추후 개재하겠습니다.(시장이 보고서를 쓰고 있을 때에 비해 지금 변화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빨리 업로드 합니다..)
모두들 존버정신으로 대동단결하되, 탄력적인 시장운용도 함께 연구하면 더 좋지 않을까... 하여 시장을 분석하고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여러분의,..많은 질책과 응원이 더 깊이 있는 분석을 도출하지 않을까요?! 흑흑 ^^;;
감사합니다.... 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