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1월15일을
정월 대보름이라 부르며
올해(2019년)는
2월 19일이 됩니다.
정월 대보름은
오기일(烏忌日)이라고도
하며 음력1월15일로,
달을 표준으로 삼던 원초
의 태음력(太陰曆)에서
일년 열두 달 중 첫 보름
달이 뜨는 날이다. 그래서
지금도 대보름날은 설날
처럼 여기는 풍속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대보름에
차려 먹는 절식으로는
부럼,귀밝이술,
오곡밥,묵은나물과
복쌈 등이 있습니다.
오곡밥 :
[오곡반(五穀飯),
백가반(百家飯)]
백 집에 나누어 먹는
것이 좋다는 뜻입니다.
5가지 이상의 곡식을
섞어 지은 밥으로 약식
보다 보편적인 형태로
변한 것이라 볼 수 있다네요.
또한 대보름날에는
세 집 이상 남의 집
밥을 먹어야 그 해 운이
좋다고 하였습니다.
평소 세 번 먹는 밥을
이 날은 아홉 번 먹어야
좋다고 하여 여러 집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기도 하였습니다.
부럼
아침에 눈을 뜨는 대로
날밤,호두,은행, 잣, 무
등을 깨물며 축수하면
1년 동안 부스럼이
나지 않고 이가 단단해
진다고 합니다.
묵은나물
(한양세시기)와
(열양세시기)등에
기록이 있는데요...
고비, 도라지, 석이,
표고, 무, 숙주, 콩나물,
오가리, 시래기 등
9가지로 만들어 이것을
먹으면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복쌈
김, 배춧잎이나
나물잎(취)에 밥을 싸서
먹는 것을 말합니다.
귀밝이술
이명주(耳明酒)
이른 새벽에 청주 한잔씩
마시는 것으로 데우지
않고 차게 해서 마시는데,
귀가 밝아질 뿐 아니라
1년 동안 좋은 소식만
듣는다 하여 부녀자들도
마셨다고합니다.
원래 달은 음(陰)으로
달-여성-대지 등을 상징
함으로써 풍요기원의
원리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를테면 만월(滿月)때에
여신에게 대지의 다산,
풍요를 기원하는 것입니다.
밤에는 뒷동산에 올라가
달맞이를 하며 소원 성취
를 빌고 달집태우기,쥐불
놀이,놋다리 밟기,지신밟
기,등 풍속놀이를 합니다.
참고자료: 한국중앙연구원.인자요산
속담:
개 보름 쇠듯 설은
나가서 쇠어도 보름은
집에서 쇠어야 된다.
2019.02.18
비비아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