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나의 유시민 - <나의 한국 현대사>

나의 한국.jpg


나는 유시민에게 항상 두 개의 감정을 갖는다(암호 화폐 토론 이후 감정은 세 개가 될 것 같다). 그는 1959년에 태어나 스무살 때 독재자의 죽음을 경험했고 뒤이어 나타난 독재자와 싸우는데 그 이십대 전부를 할애했다. 민주화는 1989년에 성공했지만 그의 승리는 2003년이 되서야 찾아온다. 나는 그와 함께 승리를 만끽했다.

유시민은 2003년 노무현 정부의 중요 내각으로 참여한다. 그리고 한미 FTA 체결에 핵심 역할을 한다. FTA같은 신자유주의적 가치를 왜 진보 정권이 앞장서 체결하려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훗날 유시민은 어차피 막을 수 없는 흐름이었기에 그 흐름 속에서 최대한 이득을 얻기 위해 노력한 결과물이 당시의 FTA라고 변명한 바 있다. 나는 비겁한 변명이라고 생각했다. 죽을 힘을 다해 손에 쥔 민주화, 독재의 후계자들과 변절자들의 협잡을 이겨내고 세운 진보 정권이라면, 또 한 번 죽을 힘을 다해 막아내야 했던 게 바로 FTA라고, 당시의 나는 생각했다. 이후 유시민은 통합진보당 사태와 일련의 정치적 시련을 겪은 뒤 정계에서 은퇴했다. 영광의 시간은 짧았다.

그의 뒷모습은 쓸쓸했다.

2014년 7월 유시민은 <나의 한국 현대사>를 들고 대중에게 돌아왔다. 작가이자 한 명의 평범한 시민으로. 이 책의 첫 장은 '같은 시대를 숨 가쁘게 달려온 모든 벗에게'라고 시작한다. 책을 읽고 난 뒤 나는 이 책이 그의 벗 뿐만 아니라 그의 적들마저 읽을 만한 책이라고 생각했다. 잠시후 나는 내 생각이 짧았음을 깨달았다. 그가 말한 '모든 벗'에는 이미 그의 적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역사는 결국 주관적일 수 밖에 없다. 아니, 주관적이지 않고서 역사는 존재할 수 없다. 모든 사실을 하나도 빠짐없이 있는 그대로 기록하면 된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역사는 단순히 사실의 총합만으로 만들어지는 게 아니다. 역사는 사실의 폐부를 꾹, 찌르고 들어가는 날카로운 창이다. 그 창날에 꽂힌 일련의 사실들이 역사를 만든다. 그러므로 이 책이 객관적이냐 아니냐 묻는 것은 애초에 잘못된 질문이다. '객관'대신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단어는 '균형'이다.

이 책에서 그는

냉정한 관찰자가 아니라 번민하는 당사자로서 우리 세대가 살았던 역사를 돌아보았다(p.11)

라고 썼다. 거짓말이다. 그는 번민하되 냉정을 잃지 않았고 자부하되 흥분하지 않았다. 그는 박정희를 절대악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어느 바보 같은 정치인처럼 박정희 대통령을 자근자근 다진 뒤 물에 헹궈 다카키 마사오와 여성 편력으로 차려내지 않았다. 물론 그는 박정희가 아니라 전두환과 싸워온 사람이기에 상대적으로 그에게 관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일부 진보 세력들이 박정희 대통령에게 보여준 무조건적인 증오와 비난을 생각해 볼 때 박통에 대한 그의 인식은 충분히 성숙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그는 보통 사람 노태우를 칭찬하고 영원한 박쥐 이인제 마저 재평가의 대상으로 삼는다. 뿐만 아니라 양극화와 고용 불안이(비록 김영삼 정권이 일으킨 IMF 탓이 크지만) 진보 정권 10년 동안 급격히 진행됐음을 솔직히 시인한다.

유시민은 이 책에서 악한 사람의 선한 면, 선한 사람의 악한 면을 드러내기 위해 노력했다. 그것이 번민을 낳았을 수는 있다. 하지만 그는 그 번민에 휘둘리지 않았다.

유시민은 받을 건 받고 줄 건 주려고 단단히 마음을 먹은 것 같다. 사실 이런 균형은 똑똑한 진보주의자들이 보여온 전형적 태도이기도 하다. 그가 정치인이었던 시절엔 그런 '이성적 태도'로는 승리할 수 없다며 그를 질타하는 사람도 많았다. 맞는 말이다. 옳게 살아가려는 의지, 흥분 속에서도 이성을 잃지 않는 힘만으로는 결코 선거에서 이길 수 없다. 현실 정치는 똥통이며 이기기 위해선 온 몸에 똥이 묻는 걸 개의치 말아야 한다. 하지만 잊지 않으셨겠지? 유시민에겐 더 이상 승리해야 할 선거가 없다는 사실을.

그는 자신이 달려온 격동의 한 시대가 저물어 가는 것을 지켜보면서 역사를 거꾸로 돌린 어리석은 국민에 분노하거나 절망하지 않는다. 대신 자신이 들고 왔던 불꽃을 앞서가는 세대에 전해주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그러고보면 대한민국의 현대사는 언제나 고군분투의 행진이었다. 유시민은 이제 묵묵히 자기 페이스를 지키며 그 대열의 끝에서 걷는다. 나는 더 이상 그에게 화내고 싶지 않다. "숨가쁘게 달려온" 그의 등을,

아무 말 없이 밀어주고 싶다.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2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