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스팀] 아웃라이어, 1만시간 노오오력만 하면 되는게 아니었네?

벌써 스팀잇에서 3번째 독서후기입니다. 책과 친하지 않은 저에게 어느덧 3번째라니 조금은 뿌듯하네요. 이번 책은 더욱 의미가 깊습니다. 이유는 스팀잇에서 추천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lky 무단으로 가져와서 죄송합니다^^; 활용해도 괜찮겠죠?

@lky 님이 정성 가득한 댓글로 추천을 해주셨습니다. 한번 읽어보겠다는 약속을 지키고 싶어, 저의 사랑 알라딘에 가서 저렴한 가격에 책을 사왔습니다. 이번에도 필기를 하며 읽었으나 아주 조금의 필기만 하여, 책 사진만 올려봅니다ㅎㅎ


1월에 태어나면 성공확률 높아?

이 책은 그저 1만시간 열심히 하면 뭐든 이루어진다. 이런 책인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책의 도입부부터 흥미진진했습니다. 1월에 태어난 사람이 성공할 확률이 높다? 이게 무슨 소리지했습니다. 근데 실제 통계결과를 보니 신기했고 일리 있었습니다. 1월에 태어난 친구들이 또래 친구들에 비해 당연히 더욱 많은 성장을 했다는 것입니다. 이 친구들은 또래안에서 좋은 기회를 잡고, 좋은 기회는 또 다른 기회를 낳고... 계속 좋은 수준의 클래스를 밟아간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근데 이미 그때 태어나지 않을걸 어쩌죠...

1만 시간의 법칙

그리고 1만 시간의 법칙이 설명됐습니다. 역시나 생각한 내용이었습니다. 비틀즈를 예로 들며 많은 시간의 공연 덕분에 그런 수준에 올랐다는 얘기를 했습니다. 하지만, 조금 특별한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여기서도 태어난 시기가 중요하다는 것! 빌게이츠, 에릭 슈미트, 스티브 잡스 같은 사람들은 모두 1955년에 태어났습니다. 이 분들이 1975년을 맞이했을 때, 즉 21살쯤 컴퓨터 관련 혁명이 일어났다고 합니다. 1만 시간을 투자해 준비된 자들은, 시기가 맞아 떨어지면 큰 성장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줬습니다.

자라난 환경이 중요, 집중양육

제가 책에서 제일 인상깊게 읽은 부분입니다. 같은 능력을 지녔다 할지라도 자라온 가정환경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중산층 부모는 보통 '집중양육' 스타일로 아이를 키운다고 합니다. 자식에게 재능, 의견기술을 길러주고 비용을 내며 키웁니다. 이 부분에서 의견에 대한 기술이 인상깊었습니다. "어른의 힘의 균형을 자신에게 옮겨라" 어릴 때부터 어른들에게 자신의 의견을 말하며, 균형을 자신에게 옮기라고 가르치고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병원에 가서 '저는 어디가 아픕니다. 이곳을 자세히 봐주세요. '와 같이 자신의 의견을 어른이지만 기죽지말고 당당하게 드러내라고 했습니다. 이런 아이들은 커서도 자신의 의견을 잘 어필할 수 있는 사람으로 클 확률이 훨씬 크다고 합니다. 자녀를 교육하고 계신분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른에게 예의바르기만 한게 아닌, 자신의 의견도 표출할 수 있는 자세! 우리나라에선 적정선을 찾기 힘들 수도 있겠네요...ㅎㅎ

가치있는 일을 하고 있다는 믿음

대학까지 비슷한 길을 걸어갑니다. 이후 취업전선에 서면 모두가 또 똑같은 곳을 바라봅니다. 대기업. 하지만 여기서 그렇지 않은 일을 가는 사람도 있습니다. 창업이라든지, 중소기업이라든지... 모두가 A라는 길을 갈때, 혼자 B,C의 길을 가는 사람. 그리고 B,C 의 길을 가서 성공하는 사람들은 가치있는 일을 하고 있다는 믿음이 존재했습니다. 제가 읽었던 책인 '신념의 마력'에서 말해주는 것 과도 비슷했습니다. 자신의 믿음이 있으면 성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부분에서도 역시 시대적 환경이 잘 맞아야 했습니다. 그저 운으로 시대의 흐름을 타는게 아닌, 그에 맞춰 미래를 내려다보고 미리 자신의 길을 개척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했습니다.

이후 인종에 대한 부분, 자라온 국가가 중요하다는 내용에 흥미가 좀 떨어지다가...

아시아인이 수학을 더 잘하는 이유

저는 마케터가 꿈이지만, 사실 기계공학과입니다. 수학과 물리를 좋아해서 기계공학과에 왔습니다. 그래서 수학이라는 말에 다시 또 몰입하여 책을 봤습니다. 왜 잘할까요? 단순했습니다. 수학언어가 잘되어 있어서 원 투 쓰리 포 파이브 이것보다 일 이 삼 사 가 훨씬 읽기 쉽고 숫자를 통해 연산이 잘된다는 것이었습니다. 실제 세계 올림피아드 대회에서 수상은 대부분 아시아인이라고 합니다. 이 부분과 함께 저자는 농사 이야기를 엮었습니다. 아시아인은 농사를 많이 짓습니다. 그래서 서양에 비해 과거부터 새벽에 일어나는 부지런한 습관을 지녔다고 합니다. 또한 2모작을 하는 등 훨씬 많은 양의 일을 한다고 했습니다. 이는 수학문제를 풀때 연관된다고 합니다. 이런 부지런함과 노력은 수학문제를 푸는 끈기로 연결되어 더 좋은 성적을 내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사실 좀 억지같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합니다ㅎㅎ"1년 내내 해뜨기 전에 일어날 수 있다면, 어찌 부자가 못되리" 이말은 좀 감명깊었습니다.

그리고 이런 모든 것은 기회 를 잡아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기회를 잡지 못하면 1만시간을 해도 안 될수도 있습니다. 또한 1월생만 밀어줄 것이 아닌, 7월 기준 클래스를 만들어 발전시키면 7월생 아이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그들을 발전시키면 두 그룹을 성장시킬 수 있다는 점도 언급했습니다.


아웃라이어를 읽기 전에는 위에서 말한 것 처럼 무조건 1만 시간 노력해라 라는 내용이 있을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읽고 나니 어느 대륙, 어느 인종으로, 어느 나라에서 태어났는지, 몇년도에 태어났는지, 몇월생인지, 어떤 환경에서 자랐는지 이 모든게 중요했습니다. 게다가 그것과 노력이 만나야 하고, 그 노력으로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저는 해석했습니다.

저를 대입해봤습니다. 좋은 대한민국에서 태어났습니다. 나름 괜찮습니다! (헬조선...이긴 하지만) 근데 그 다음부터 문제입니다. 제가 태어난 세대는 베이비붐 세대! 게다가 부모님 세대도 베이비붐 세대! 윗 분들이 나가지 않아 일자리가 없는데, 저희 세대까지 많으니 엄청난 문제입니다... 다음 몇월생인지..저는 7월이기에 탈락. 자란 환경은 너무 잘키워주셨습니다. 잘 키워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모님^^ 다음 노력...그건 앞으로 더욱 하면 되는 것이고, 1만시간을 향해 달려가면 될 것 같습니다. 기회! 마지막으로 기회...이게 기회인지 똥인지 구분하는게 정말 중요할 것 같습니다. 스팀잇이라는 기회를 만났으니 일단 한번은 잡은 것 같네요!!

이렇게 아웃라이어 독서 후기를 남겨봤습니다.
제 평점은 ★★★★☆ > 누군가에게 조금은 절망감을 안겨줄 수도 있을 것 같아서 1점 뺐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5dtak3VuYmxDimCqv44t8Qs4xHaQdP_1680x8400.png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5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