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도그와 스팀

일을 하고 있는데, 누군가가 핫도그를 가져와서 '따뜻할 때 먹으라'고 해요.

설탕 바른 핫도그가 맛있다는 것은 익히 알지만, 밀가루•설탕•햄•기름 등을 사용해서 만든 것이라 처음에는 사양하다가, 자꾸 권하는 바람에 마지못해 한 개만 집어들면서 한 개에 얼마를 주고 사왔느냐고 물었어요.

하나에 2천원이라는 답이 돌아와요.

나는 생각해요.

스팀은 몇 개를 줘야 하지?

계산해 보니 5 스팀은 필요해요.

또 생각해요.

내가 처음 스팀을 구입할 때의 가격 4,500원대로 계산하면, 이 핫도그 2개를 사고도 남는구나.....

법정통화인 원화의 가치가 특별히 오른 것도 아닌데 원화로 표시한 스팀의 가격은 정말로 많이 추락한 거예요.

2014년에 1배럴당 미화 150달러정도였던 WTI 원유 가격이 그 후 30달러 밑으로 곤두박질쳐서 1/5토막난 상황이 떠올랐어요.

스팀은 최고 가격에 비해 1/25토막난 거예요.

원유 가격은 OPEC의 감산(공급 제한) 합의 등으로 그 가격에서 반등했는데 스팀 가격은 앞 길을 헤쳐갈 수단(예를 들어 스팀잇 재단의 스팀 대량 소각 및 시장으로의 공급량 제한)이 안 보여요.

또 생각해요.

스팀잇 참여자의 창작 활동은 스팀의 가치 상승에 그다지 크게 기여하지 못했구나.

남의 글에 '좋아요'를 주기 위해 일부러 스팀을 대량으로 구매할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을 테니, 그게 그럴 수밖에 없구나.

내 글에 셀프 '좋아요'를 주기 위해 일부러 스팀을 대량으로 구매하는 것도 스팀의 가치가 높을 때에나 해당할 테니, 그게 그럴 수밖에 없구나.

한편, 거래소 시장에 공급량은 늘었지만 수요량은 늘지 않았구나.

그러면 시장에서 유통되는 스팀의 수요량과 공급량은 어쩌지 못하더라도, 시장 경제 질서에서처럼 기술 혁신 등을 통해 수요 자체를 늘리거나 공급 자체를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

To be added.


Addition

@virus707님의 포부에서 나온, 1억 스팀 구매 후 잠그기 아이디어.

방법이 SP로 전환일지 동결일지는 모르겠지만, 유통 스팀의 수집이 관건이네요.

12921 club을 결성하여 1만 명이 각자 12,921 스팀씩 총 1억 2천 9백 2십 1만 스팀을 구매하여 잠그는 것은 실행 계획의 하나일 수도 있네요.
1231 club을 결성하여 10만 명이 각자 1,231 스팀씩 총 1억 2천 3백 1십만 스팀을 구매하여 잠그는 것은 실행 계획의 하나일 수도 있네요.


스팀 기반 스팀 본위 상거래 플랫폼 또는 dapp


SMT 또는 스팀엔진 기반 토큰의 활성화

토큰은 업보팅 및/또는 배당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해요.

@solnamu님의 ORG 토큰처럼, 스팀 구매 또는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자기 희생적 할인 정책에 기반하여 발행하는 토큰도 있고요.

@steemhunt의 reviewhunt를 위한 hunt 토큰처럼, 스팀을 본위로 하는 토큰도 있고요.


스팀잇 재단 및 고래들과 특정 집단(중앙 또는 지방 정부, 기업 그룹, BTS 같은 세계적인 연예인) 사이의 전략적 제휴(일정 수량의 스팀 무상 제공 조건으로 그 커뮤니티 안에서의 지급•결제 시 스팀 사용 강제; 반드시 지역적으로 제한될 필요가 없음.)


스팀잇 재단 및 고래들의 스팀 대량 소각 및 거래소 시장으로의 공급 제한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1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