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 꼭 해야할까
지난글에서 제가 생각하는 퇴사를 위한 6가지 스텝 에 대한 얘기를 했습니다. 단계별로 생각할 거리를 던졌는데 답을 찾으셨는지 궁금하네요. 댓글에서 많은분께 말씀드렸지만, 누구에게나 퇴사가 답은 아닙니다. 규칙과 안정을 중요시 여기는 분들은 회사생활을 오래하실 수도 있습니다. (아마도 일반적으로 40대 중반~50 초반까지요.)
그러나 아직도 답을 내리시지 못하고 이 글을 읽고 계시다면, 아래의 질문을 추가로 드립니다. 1,2,3,4의 경우 이직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5번의 경우 전업 또는 독립이 필요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1+3+5번 트리플이네요.
1. 경영진의 비젼과 나의 비젼이 심각하게 맞지 않다
장기적으로 내가 나가고자 하는 길로 나아갈 수 없습니다.
2. 회사가 하는일이 윤리적으로 옳지 않다 느낄 때
윤리적,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 느껴지는 일에 스스로도 떳떳할 수 없습니다.
3. 조직내의 불합리성을 참을 수 없을 때
부패하고 내부거래가 빈번한 조직에서는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인정받기 힘듭니다.
4. 회사에 나의 모든 에너지를 내어주고 있다
회사=인생은 아닙니다. 내가 좋아하는 일을 위해 일하는 것이지, 일하기 위해 사는것이 아닙니다.
5. 회사에서 내가 하는 일이 싫을 때
적성에 안맞거나 다양한 이유로 내가 하는 일이 싫어지면 내 자신이 싫어집니다. 우리는 인생의 80%를 일하는데 쓰고 있기 때문입니다.
퇴사가 아닌 '회사원 때려치기'
제 퇴사글들은 회사라는 포맷을 벗어나고 싶어하는 사람들
에게 공감을 줄 만한 내용입니다. 저는 퇴사가 아닌 회사원 생활을 그만하고 생업을 찾는게 목표입니다. 저는 시간에 대한 결정권, 무슨 일을 할지 결정할 권리
를 제가 갖고 싶습니다. 아래 이유들 때문입니다.
- 제한된 기회
- 지난 5년간 수직적인 업무방식을 벗어날 수 없었음
- 짜여진 구도안에서의 경쟁에 대한 회의감
- 정해진 틀 안에서의 안정때문에 아무것도 안하게됨
모범생보단 '괴짜'가 성공하는 세상
직업+ ∝(알파) 가 필요하다.
직업으로만 먹고사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회사의 정년이 점차 줄어들고 있거든요. 보통 정년을 55세로 정했다하면 50세부터 정년퇴임이 시작됩니다. 10년뒤에는 보편적으로 정년퇴임이 40대 중반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런데 100살까지 살 수도 있는 세상이 되어버렸어요. 최소 남은 35년을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알파가 필요합니다.
성공한 덕후거나 괴짜거나
모범생보단 괴짜가 성공하는 세상입니다. 명문대생보단 1만뷰 이상 찍는 유튜버가 더 경쟁력있고요, 수조화초만 키우는 덕후가 몇 천만원을 벌기도 하고요, RC카 부품 취미로 만들다가 대기업 때려치운 선배도 있고요, 집 짓는게 소원이라 직접 설계해서 집을 지었는데 억소리나게 집값이 상승한 선배도 있고요.
이들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그들은 "어떻게 저렇게 까지 해" 라고 생각할정도로 한 분야에 파고듭니다.
그리고 블로그든 유튜브든 어떤식으로든지 발산합니다. 자기가 하고 싶은 일로 컨텐츠를 만들어냅니다. 저는 이런
능력을 `자기표현력이 높다' 라고 표현하고 싶네요.
그래서 어설프게 자기개발 할 바에는, 어디에 덕질할지 찾는게 우선입니다.
나의 재능으로 세상에 도움되는 일이 무엇일지 고민해보는게 먼저입니다. 재능이 없다 느껴지시면 자기자신과 대화가 부족한 겁니다. 누구에게나 한 가지씩은 잘 할 수 있는 일이 있습니다. 그 '일'을 찾아내야만이, 내가 '일'을 선택하는 '결정권'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것을 어떤 형태로 풀어낼지는 다음 글에서 '부의 추월차선' 리뷰와 함께 적어볼께요. 투비 컨티뉴...!
지난 글
퇴사를 꿈꾸다 #1 - 남들이 부러워하는 직장에서도 '행복'은 없었다.
퇴사를 꿈꾸다 #2 - "원래 자유란 피비린내가 나는 것"
저를 포함해서 스팀잇 하시는 여러분들은 이미 경쟁력이 있습니다!ㅎ
여러분의 알파는 무엇인가요?
남은 인생 어디에 덕질하실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