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스팀#2] 마윈 - 내가 본 미래

안녕하세요. 북스팀을 즐겨하는 @woodaram입니다.

마윈2.jpg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윈의 알리바바그룹 내부담화를 엮어놓은 책 <마윈, 내가 본 미래>에 대한 리뷰를 해보겠습니다. 저의 북스팀은 제가 한 권의 책을 읽고 제 나름의 키워드와 생각을 정리해보는 글로써, 독백체로 쓰여 있는 점 미리 말씀드립니다.

내가고른카워드.png

다섯가지 ‘신(新)’

신유통, 신제조, 신금융, 신기술, 신에너지. 이 ‘다섯가지 신(新)’은 수많은 업계에 충격을 주고 있으며 심지어 기존 산업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엄청난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자신을 바꿀 수 있는 기회로 삼기 바란다

21C키워드

21C키워드는 혁신, 상상력, 변화, 개혁이다. 기계가 여러분보다 더 똑똑하다고 풀죽을 필요없다. 문화를 이해하고 비전을 만들어가는데 있어 우리가 기계보다 훨씬 더 뛰어나기 때문이다

DT(Data Technology)시대

DT시대에는 이타적인 생각을 가졌을 때 성공할 수 있다. IT시대에는 자기 스스로를 더 성장시킨다면, DT시대에는 다른 사람을 더 성장시킨다. IT시대에 제조가 탄생했다면 DT시대에는 ‘창조’가 탄생할 것이다. IT시대에 지식이 탄생했다면 DT시대에는 인류가 진짜 ‘지혜’의 시대에 들어서게 될 것이다

EQ, IQ, LQ

기업운영의 세 가지 키워드는 EQ(감성지수), IQ(지능지수), LQ(사랑지수)다. IQ가 높으면 실패하지 않고 EQ가 높으면 성공할 수 있다. 성공한 창업자는 모두 EQ가 매우 높아 인간의 본성을 아주 잘 파악한다. IQ와 EQ가 있으면 기업을 성공으로 이끌지만 또 다른 키워드인 LQ를 잊어서는 안된다. LQ가 없다면 돈이 아무리 많아도 존중 받을 수 없다

기회

기회는 어디에 있을까? 기회는 바로 사람들이 불평하는 곳에 있다. 사람들의 불만을 처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로 우리에게는 기회가 된다. 마윈은 다른 사람들이 불평하는 소리를 들으면 흥분된다고 한다. 기회가 있음을 보았고, 그들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하기 때문이다

공유

인터넷 경제를 고민할 때 다음 몇 가지를 함께 고려해야한다. 즉, 가장 중요한 타인 중심의 개방, 투명, 공유, 책임의 정신이다. 지금까지는 내가 가진 정보를 다른 사람이 갖지 못했을 때 내가 돈을 벌 수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는 공유가 이루어져야만 내가 성공할 수 있다

데이터 경제

인터넷에 결여된 부분을 찾아야 하는데, 그 결여된 부분은 바로 마우스와 시멘트간의 협력으로 인터넷 경제와 실물경제가 결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되었을 때 바로 디지털경제가 아니라 데이터 경제가 된다. 데이터 경제는 모든 것을 바꾸어 놓을 것이다

내가고른구절.png

우리는 모두 운이 좋은 세대다. 20년 전에 태어났다면 기회가 많지 않았고 20년 늦게 태어났다 해도 기회가 많지 않을 것이다. 사실 여러분이 잘 간파한다면 기회는 매일 있다. 내 생각에 창업을 한다면 무수히 많은 기회가 있다. 뜻이 같고 생각이 일치하는 사람들이 시대가 주는 기회를 함께 포착하고 국가가 주는 기회를 함께 포착해 시대의 사회변혁에 실제로 참여한다면 이는 일생일대의 행운이라고 할 수 있다

나의생각정리.png

이 책은 마윈 회장님이 연설한 내용을 주제별로 엮어놓은 책이어서 그런지 뭔가 그의 가치관이나 인간적인 면이 직접적으로 느껴지는 책이다. 인터넷이 일반화되지 않았을 때, 아무도 그런 세상에 대해 믿지 않았을 때 꿋꿋하게 본인의 믿음 하나로 10년 세월을 이겨냈다. 세상의 흐름속에서 기회를 보았고, 긍정적인 생각으로 그 일을 꾸준히 해내자, ‘부’의 기회를 잡은 것이다. 지금도 우리는 그런 변화의 시기에 살고 있으니, 이 좋은 기회를 절대 놓치지 말라고 얘기한다. 나도 머지않아 부의 재편이 이루어질거라고, 지금이 기회라고 느끼고는 있지만, 역량이 많이 부족하다. 그래도, 미래에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들보다 기회를 보는데 한 걸음 더 가까이 있다고 위안을 삼으며, 지금 당장 어떤 것부터 해야할지 체크해본다


지난 북스팀보기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1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