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브르 아부다비는 2017년 11월 11일에 개관한 루브르 박물관의 첫 분관으로, 경매 사상 최고가를 갱신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살바토르 문디>가 전시될 예정인 것으로도 유명하다.
루브르 아부다비는 상설 갤러리와 특별 전시관으로 나뉜다. 상설 갤러리에는 루브르 아부다비에서 소유한 작품과 파리 루브르 박물관, 오르세 미술관에서 빌려온 작품을 볼 수 있고, 특별 전시관은 1년에 4번 색다른 주제로 전시회를 연다.
루브르 아부다비에 대한 글은 상설 갤러리 3회, 특별 전시회 1회로 나눠 쓸 예정이고, 그 이후에는 루브르 박물관이 위치한 사디얏 아일랜드를 소개할 예정이다. 상설 갤러리의 작품의 경우 시대 순으로 소개하려고 한다.
티켓 구입
- 현장 구입 가능하나 줄이 길 때가 있으므로 웹사이트를 통해 사는 것을 추천
관람료
- 성인 : 60디르함 (18,000원)
- 청소년 : 30디르함 (9,000원)
- 아동 : 무료
한국어 지원 여부
- 안내 책자 : 지원
- 멀티미디어 가이드 : 미지원
내가 미술관 관람을 좋아하게 된 것은 피렌체의 우피치 미술관에 방문하면서부터였다. 그전에도 한국에서 미술관을 가거나, 칸딘스키나 피카소 같은 거장의 특별 전시회를 관람할 기회는 있었으나 배경 지식이 없어 그냥 눈으로 보기만 했다.
신혼여행 때 한국분이 진행하시는 우피치 투어를 신청했는데 그날따라 신청자가 나와 남편밖에 없어 개인 투어가 진행되었다. 덕분에 우피치를 걸으며 종교 미술과 르네상스, 바로크 미술에 대해 역사적 사실이 담긴 설명을 듣고, 피렌체 거리를 걸으며 메디치가의 흔적이 남은 건물에 대한 설명도 들었는데 정말 신선하고 재밌었다. 그래서 그 이후부터 여행을 갈 때마다 꼭 그곳의 유명한 미술관에 들렀는데, 그렇게 여행을 하다 보니 어릴 때 학교에서 배운 미술 수업에 대해 아쉬운 마음이 생기기 시작했다.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내가 중, 고등학생일 때의 미술 수업은 대부분 미술을 전공하는 학생이 주가 된 실기 수업이었다. 사실 미술 전공생이 많지도 않을뿐더러 생각해보면 미술 교과서에 유명한 그림도 많이 실려 있었는데, 이론 수업을 통해 미술이 발전하게 된 그 배경을 그 사진과 함께 설명해 주었다면 많은 학생이 조금 더 미술에 관심을 가질 기회가 되지 않았을까?
나는 미술관을 관람하는 것을 좋아하기도 하지만, 올해는 다른 이유로 루브르 아부다비에 자주 다녀왔다. 이곳의 연간 회원권은 1장 구매 시 1명 동반 입장이 가능한데, 제대로 읽지 않아 남편과 각자 회원권을 1장씩 샀기 때문이다. 그 바보 같았던 행동 덕분에 한동안은 주말마다 지인들을 데리고 이곳을 방문했고, 그들에게서 커피나 점심을 얻어먹었으니 나쁘지만은 않았던 것 같다. 하지만 올해 겨울에는 꼭 1장만 구매하려고 한다.
외관


내부

대부분의 미술관이 그렇듯 루브르 아부다비도 엑스레이 검색대를 통과해야 하며, 물은 소지할 수 없다. 건물 내부로 들어가면 티켓 오피스와 멀티미디어 가이드를 빌려주는 곳이 있으며 이후 상설 전시관, 특별 전시관, 그리고 내부 음식점으로 갈 수 있다. 특별 전시관은 다른 건물에 위치하는데 기존에 표 검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특별 전시관 입장 시 또다시 표 검사를 하므로, 박물관을 떠나기 전까진 표를 버리지 않아야 한다.
메인 전시관
이곳의 메인 전시관은 석기시대의 유물에서 시작하여 현대 미술까지 시대순으로 잘 전시되어 있다. 유럽의 미술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종교화, 르네상스, 바로크 양식의 그림의 수는 적지만, 대신 중동, 인도의 미술을 접할 수 있으며, 근대, 현대 미술을 대표하는 화가들의 작품도 이곳에서 볼 수 있다.
0. 현관

처음으로 들어서는 방에서는 같은 주제에 대한 다른 문화의 유물을 비교 전시하고 있다. 유럽의 박물관(또는 미술관)이 주로 유럽의 역사를 대변한다면, 이곳에서는 유럽, 중동, 아시아, 나아가서는 아프리카와 아메리카의 유물을 함께 전시하고 있는데, 이것이 루브르 아부다비의 주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위의 유물도 그중 하나로, 이 셋은 모두 만들어진 연대가 다른 터키, 중국, 인도의 물 주전자다. 하지만 그 모양은 어딘지 모르게 서로 닮아있다.
1. 석기 시대

BCE 5500년 즈음 만들어진 이 토기는 아랍 에미리트에서 출토되었는데, 놀랍게도 이곳에서 1,000km 떨어진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것이라고 한다. 당시에도 해상 무역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는 유물이다.

2. 청동기 시대 : 초기 문명
어릴 때 학교에서 배웠던 6대 문명 중 황하, 그리스, 이집트 문명, 그리고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유물을 관람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BCE 2333년에 고조선이 건국되었다.

머리의 장식, 팔의 근육, 옷 주름 등이 꽤 정교하게 다듬어진 석상이다. 이러한 석상이 4000년 전에 만들어진 것이라니 놀라울 따름이다.
이 석상의 뒤로 보이는 어두운 방은 이집트 문명의 유물 및 미라 등이 전시된 곳으로, 다른 공간에 비해 어둡고 서늘한 편이다.

이렇게 이집트 유물을 관람하는 것은 신기하면서도, 그들에겐 빼앗긴 유물일 것이라 마음이 편하지만은 않다.

그릇 내부에 쓰인 글자가 아직도 깨끗하게 남아 있다. 이 글자들이 그 시대를 탐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상설 갤러리에는 군데군데 작고 어두운 방으로 향하는 통로가 있다. 제2 전시관에 딸린 작은방에는 금으로 만든 화폐와 귀금속을 볼 수 있었는데, 내 눈에 들어온 것은 위의 팔찌였다. 2600년 전 것이라고 하지만, 동시대의 카르티에 팔찌라고 소개되어도 의심 없이 믿을 것 같다.
3. 문명과 제국

기존엔 기하학 양식을 띠고 있던 그리스 미술이 동쪽의 소아시아, 이집트 미술의 영향을 받아 사람 형상을 띠는 모습으로 변했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 완전히 사람 모습을 하고 있진 않다.
위 사진은 그리스의 스핑크스인데, 수수께끼를 내는 스핑크스 또한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것으로 이집트의 스핑크스와는 별개이다.

왼쪽에 있는 항아리는 왠지 미술 교과서에서 본 것만 같다. 2500년 전의 도자기인데, 본명인진 알 수 없으나 이 도자기에 화가의 이름, 안도키데스가 적혀져 있다고 한다.
도자기의 그림을 보면, 주위를 꾸민 기하학적 무늬와 함께 사람이 등장한다. 이 사람들이 정면을 보는 모습을 상상해봤는데, 그러면 도자기의 불룩한 면 때문에 뭔가 이상한 그림이 될 것 같다. 그래서 마치 < > 모양으로 서로를 바라보는 측면 그림을 그렸을까?
소크라테스(기원전 469년 출생)가 활동했던 기원전 5세기 즈음, 그리스 철학의 주제는 '자연'에서 '사람'으로 옮겨왔으며[1], 그리스의 예술도 사람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리스와는 달리 나머지 나라들은 동물을 묘사하는 데 주력했다고 한다.


어딘가 기어오르려는 용의 모습이 정말 귀엽다. 뒷모습을 보면 영락없이 우리 집 고양이가 생각나는 게, 당시 중국인에게도 용은 무서운 존재가 아닌 친숙한 존재였을까?


그리스와 레바논, 이집트와 레바논 모두 꽤 거리가 있지만, 그 당시 이집트와 레바논 지역은 아케메네스 제국에 의해 통치되었고, 그리스와 아케메네스 제국 간의 전투도 잦았으므로 자연스럽게 양쪽 문화 모두 전파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는 기원전 146년부터 로마의 지배를 받았다. 하지만 기원전 5세기에 시작된 인본주의적인 예술은 계속되어 실제 사람의 모습과 거의 흡사한 조각상을 만들어냈다. 이제까지 봤던 그리스-로마 대리석상 중 가장 충격이었던 것은 바티칸 박물관에 있는 라오콘 군상인데, 뭔가 이 세상 사람이 만든 것 같지 않은 느낌이었다.

눈매가 굉장히 선하면서도 사연있을 것 같이 잘생긴 이 부처의 두상은 파키스탄에서 만들어졌다.
석가모니와 공자도 역시 기원전 5~6세기에 활동했는데, 이처럼 이 시기에 인간 본질에 대해 생각하고 토론할 수 있었던 원인 중 하나가 철기의 보급으로 인한 농법의 발달로 생활이 윤택해져서라는 의견도 있다.

로마의 박물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지만, 이슬람 국가인 이곳에서 성서의 내용이 담긴 유물을 볼 수 있다는 자체가 신선했다. 아랍에미리트는 이슬람 국가이지만, 타 종교를 허락하며 외국인의 경우 타 종교를 믿는 것을 인정하기에 이런 유물이 전시될 수 있었을 것 같다.
이 이후 전시실에 대한 설명은 다음 포스팅으로 이어질 예정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퀴즈 : 이 그림은 언제 무엇으로 그린 그림일까요?
(예제 : 21세기, 색연필). 맞추시는 분께는 약소하지만 풀봇하겠습니다.
[1] 그리스철학 - 두산 백과
이전 글 : [UAE] 셰이크 자이드 그랜드 모스크
다음 글 : [UAE] 루브르 아부다비 #2
여행지 정보
● Louvre Abu Dhabi - Abu Dhabi - United Arab Emirates
관련 링크
● https://www.louvreabudhabi.ae/
trips.teem 으로 작성된 글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