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보상 수익률에 대한 이해 #1

안녕하세요, fenrir입니다.

오늘은 지난 번 큐레이션 보상 수익률에 이어 저자 보상 수익률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글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를 클릭!!!

큐레이션 보상 수익률에 대한 이해 #1

큐레이션 보상 수익률에 대한 이해 #2

큐레이션 보상 수익률에 대한 이해 #3

사실 저자 보상금액은 기대수익을 측정하기가 어렵습니다. 타인이 내 글에 얼마나 업보팅을 눌러줄지 알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단, 내 글에 셀프보팅을 하는 경우에는 업보팅한 금액이 바로 저자 보상이 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기대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를 중심으로 셀프보팅 횟수에 따라 저자 보상 수익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저자 보상 수익률을 계산해보자

지난 번 현재 보팅파워%에서 20%p 감소될 때까지 업보팅을 누른다면, 그것이 사용할 수 있는 1일 최대 업보팅의 양이라고 말하였다.

Steem 1.95 / SBD 1.95 / Steem Power(이하 SP) 10,000 / 업보팅 가치 $1.36(금일 스팀나우 기준)을 가정하고 아래 그림을 보자.

upvote.jpg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내가 하루 동안 최대로 사용할 수 있는 업보팅의 양은 $13.55이다.

다음을 이용하여 각 CASE별 기대 수익률을 구해 보도록 하자.

큐레이션 보상금액 = 업보팅 금액 * 0.25

저자 보상금액 = 업보팅 금액 * 0.375 * (SBD + 1)

일수익률 = (큐레이션 보상 + 저자보상) / (보유 SP * Steem)

연수익률 = 일수익률 * 365

1.CASE 1은 하루에 타인의 글에만 큐레이션만 하는 경우이며, 사용 가능한 $13.55가 모두 큐레이션에 사용되었다.

case1.jpg

그림과 같이 연 기대 수익률은 6.3% 수준이다.

2.CASE 2는 하루에 타인의 글에 큐레이션 9회 + 본인의 글에 셀프보팅 2회를 한 경우이다. 사용 가능한 $13.55 중 $11.09(13.55 * 9/11)은 큐레이션에 사용하였고, $2.46(13.55 * 2/11)은 셀프보팅에 사용되었다.

case2.jpg

그림과 같이 연 기대 수익률은 11.4%로 CASE 1의 1.8배 수준이다.

3.CASE 3은 하루에 본인의 글에만 셀프보팅 11회를 한 경우이며, 사용 가능한 $13.55가 모두 셀프보팅에 사용되었다.

case3.jpg

그림과 같이 연 기대 수익률은 34.4%로 CASE 1의 5.4배, CASE 2의 3.0배 수준이다.

위와 같은 수익률 차이가 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저자 75%, 큐레이터 25%의 보상비율 -> 3:1로 저자 보상이 유리

저자 보상은 SBD 50%/SP 50%, 큐레이션 보상은 SP 100%로 지급 -> SBD 가격 상승 시, 저자보상이 훨씬 유리

위의 CASE 별 연 기대수익률은 SBD의 가격이 $1.95인 경우이고, SBD 가격 변화에 따른 CASE별 연 기대수익률을 계산해 보면 아래와 같다.

SBD가격CASE1CASE2CASE3
$16.3%9.8%25.4%
$1.956.3%11.4%34.4%
$46.3%15.0%53.9%
$86.3%21.9%91.9%
$166.3%​35.7%168.0%
  • 결론

현재 SBD 가격 수준에서도 셀프보팅 횟수에 따라 투자자가 기대할 수 있는 수익률 차이는 꽤 큰 편이다.

이러한 기대수익률 차이 때문에 스팀잇에 참여한 투자자라면 셀프보팅의 유혹에 빠질 수 밖에 없고, 대부분의 사람이 일정 수준의 셀프보팅을 하고 있다.

(셀프보팅이 나쁘다는 것도 아니고, 어느 수준이 적정한지를 논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만약 모두가 진정 바라는 암호화폐의 가격 상승으로 Steem 및 SBD의 가격이 $16이 된다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 위 표와 같이 CASE 1과 CASE 3의 수익률 차이는 26.5배(168% / 6.3%)가 된다.

그 때가 되면 지금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저자 보상이 매력적이기 때문에,

아마도 더 많은 사람이 더 높은 비율로 셀프보팅을 할 것이고, 그에 대한 논란 역시 지금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거셀 것이다.

혹 아닐 수도 있다. 그 때가 되면 지나친 셀프보팅을 문제 삼는 사람이 이상한 사람이 되거나, 아예 말 조차 꺼내기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현재 스팀잇 내 논란의 대부분은 보상체계의 불균형에서 야기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보상체계의 변경은 우리가 논의해야 할 1순위가 되어야 한다. 지금처럼 SBD의 가격이 낮은 수준에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져 보상체계가 바뀌지 않는다면, 나중에는 더욱 바꾸기 어려울 것이고 그 때는 지금보다 훨씬 심각한 상황이 될 것이다.

그리고 그때는 아무도 스팀잇의 밝은 미래에 대하여 얘기하지 못 할 것이다.


감사합니다.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4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