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의 헌책방] -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안녕하세요? 레오입니다.
제가 이 코너를 진행하는 이유는 우선 제가 책을 많이 읽고 싶기 때문입니다. 암호화 화폐와 주식투자에 에너지를 쏟을수록 무언가 흑화되어가는 제 자신을 느낄 떄가 많습니다. 투자에 관한 여러 경험들이 많은 분들이라면 아마도 잘 이해가 되실듯 합니다. 이렇게 수익률만 바라보고 달려가는 저에게 무언가 '브레이크'를 계속 걸어주고 싶은 마음이 가득합니다. 그래서 저는 [레오의 헌책방] 코너를 통해 우선은 저 부터 먼저 책을 보며 심신을 수양해 보려 합니다.

KakaoTalk_20180104_204346007.jpg

제가 이 책을 처음 접한건 이제 20대도 아니고, 30대가 되어서도 무언가 잘 모르겠고, 누군가에게 이야기를 좀 듣고 싶은 시절이었습니다. 지금은 20대가 아닌 나이 앞에 3자만 붙어도 부러운 나이가 되었지만 지금 다시 읽어 보아도 여전히 가슴속에 남는 구절들이 많은듯 합니다.

KakaoTalk_20180104_204139320.jpg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한다' 힘들어 하시는 분들에게 아주 힘이되어 주는 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꿈이 없는 사람은 어찌보면 힘들게 크게 없습니다. 내가 지쳤다는 것은 그만큼 내가 노력을 했고, 찾아 다녔다는 것이겠지요.

저자는 이 책에서 사춘기와 성인기 그리고 중년기는 있지만 30대에 관한 언급이 없는 우리들의 세상을 이야기 해줍니다. 어찌 보면 그 만큼 30대는 중요하지만 큰 틀은 없는, 자신이 알아서 개척해야 하는 시기인지도 모르겠습니다.

KakaoTalk_20180104_204139007.jpg

힘들게 지쳐있는 우리나라의 직장인들에게 꼭 필요한 말 일것 같습니다. ' 당신은 언제나 옳다. 그러니 거침없이 세상으로 나아가라!'

KakaoTalk_20180104_204138042.jpg

목차만 보아도 서른살의 현대인들의 가슴에 울림을 줄 내용들이 가득합니다. 30대 분들이라면 한 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KakaoTalk_20180104_204138726.jpg

제가 40대에 다시 이 책을 보니 분명 30대에 보았던 것과 같지만 또 다른 느낌과 저 말이 맞을까? 라고 생각하게 되는 부분이 종종 있네요. 그렇게 여러 시간을 고민하다 내리게 된 결론은 '30대가 본다면 저 말이 맞다' 입니다.

책을 다시 보면서 이런 구절들이 기억에 남는군요.

  • 직장에서 좋은 관계를 만드는 특별한 방법은 없다. 내가 존중받고 싶은 만큼 상대를 존중하고, 내가 맡은 일에 대한 책임은 내가 지며, 나의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지 않도록 배려하고, 서로의 사적 영역을 존중하면 된다.-

  • 아이를 키운다는 것은 꼬마와 같이 추는 왈츠와도 같다. 일방적인 수혜가 아니라 아이의 보폭에 맞춰 가며 같이 추는 왈츠, 때로는 이끌고 때로는 넘어지지 않게 잡아 주면서 음악에 맞춰 즐겁게 춤을 추는 시간은 다시 오지 않을 소중한 시간이다. -

  • 결혼은 서로를 가리고 있던 커튼을 열어젖힌다. 마치 화려한 무대 뒤에 너저분하게 널려 있는 소품과 장치들이 노출되듯이, 결혼과 함께 열린 커튼은 상대가 자신이 그동안 생각해 오고 예측해 왔던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

  • 신혼 초에는 격렬한 부부 싸움이 일어나기 쉽다. 하지만 이것은 세세한 부분에서는 아직 맞지 않는 두 개의 톱니바퀴가 맞물려 돌아가면서 내는 소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마찰을 거듭하다 보면 두 개의 톱니바퀴도 부드럽게 닳아 돌아가게 마련이다. -

전 인생의 가장 황금기는 30대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때이기도 하지요. 이 책을 읽고 힘들어하는 자신의 모습을 조금은 추수릴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여기까지 '레오의 헌책방'의 레오였습니다.

[레오의 헌책방]

바보가 바보들에게
@leomichael/6x4skg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Veronika Decides To Die)
@leomichael/veronika-decides-to-die
너도 떠나보면 나를 알게 될 거야 (230 Days of Diary in America)
@leomichael/230-days-of-diary-in-america
헤르만 헤세의 '정원일의 즐거움'
@leomichael/d5s6c
법륜스님의 '행복한 출근길'
@leomichael/31bmzm
교황님의 '뒷담화만 하지 않아도 성인이됩니다.'
@leomichael/4ngqkr
법정 스님의 '무소유'
@leomichael/7nzvlw
차동엽 신부님의 '무지개 원리'
@leomichael/6cy2vx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23 Comments